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58)
비트코인 - S2F 모델(feat.PlanB) 비트코인 S2F 모델은 X에서 활동 중인 PlanB(@100 trillionUSD)가 만들어낸 모델입니다.S2F 모델은 비트코인의 희소성을 기반으로 가격 예측을 시도하는 수학적 모델입니다.이 모델은 금과 같은 희소 자산의 가격을 예측하는 방식에서 영감을 받아비트코인에도 적용되면 공급량 대비 새로운 공급속도를 비교합니다. - S2F 모델의 주요 개념1. Stock (비축량): 현재 존재하는 비트코인의 총 공급량을 의미합니다.2. Flow (신규 공급량): 새로운 비트코인의 연간 생산량입니다.이는 비트코인의 채굴 보상에 의해 결정되며 4년 마다 발생하는 반감기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합니다.S2F 비율은 자산의 희소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다음 공식에 의해 계산됩니다.  - S2F 모델이 비트코인에 적용..
미국 기준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 미국 기준금리 현황위 차트는 2022 ~ 현재까지의 기준금리 추이를 보여주는 차트입니다.미국은 2022년 3월 처음으로 금리를 인상하여(0.25% -> 0.5%) 2023년 5월에 5.25%까지 올린 후현재까지 금리를 동결시키고 있습니다.  - 기준금리 인상이 주는 영향1. 소비와 투자 감소미국의 기준금리가 오르면 시중 금리도 함께 상승합니다. 이로 인해 개인과 기업의 대출 이자가 증가해 각종 대출 등이 더 비싸집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대출을 줄이고 기업들은 사업 확장과 투자를 줄이게 됩니다.2. 인플레이션 억제금리 인상은 수요를 줄여 물가 상승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집니다. 소비자들이 대출을 적게 받고 지출을 줄이면서 수요가 감소하고 물가 상승이 억제됩니다. 3. 고용 축소금리 인상으로 경제 활동이..
미국 주식 빅테크 3배 레버리지 BULZ 분석 BULZ( MicroSectors & Innovation 3X Leveraged ETN)는 미국의 주요 기술주와 혁신 기업들을 대상으로 한3배 레버리지 ETN(상장지수증권)입니다.운용수수료는 0.95%로 높은 편이며 배당은 없습니다. - ETF와 ETN의 차이ETF는 자산운용사에서 발행하지만 ETN은 증권회사가 발행합니다.만약 ETF나 ETN을 발행한 곳이 파산하면 투자자의 돈은 어떻게 될까요?ETF는 돈을 돌려받을 수 있지만 ETN은 돌려받지 못합니다ETN은 기초 자산을 실제로 보유하지 않고 기초 자산의 수익률에 따라 수익을 지급하겠다는 발행자의 약속입니다.때문에 리스크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신용위험이라 합니다또, ETF는 실제로 기초 자산을 보유하고 관리합니다.하지만 ETN은 기초 자산을 보유하지 ..
엔비디아(NVDA) 조정 가능성 24.09.08 기준 NVDA는 고점대비 약 -28% 하락한 상황으로 조정을 받고 있다.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NVDA는 2023년부터 현재까지 큰 조정 없이 큰 상승폭을 보여줬다. 하지만 이번에는 꽤 큰 폭으로 하락을 했는데 그 이유는 과연 무엇일까?   1. 시장의 과열 NVDA는 2분기 매출 300억 4000만 달러, 주당순이익 0.68달러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모두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수준이다.하지만 그 후 주가는 급락했다. 바로 이러한 시장의 과열 때문이다.시장이 과열되어 투자자들은 더 큰 기대를 하게 되고 시장 기대치보다 좋은 실적을 발표했지만큰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진 것이다. 2. 수익성에 대한 불확실차세대 인공지능(AI) 그래픽칩(GPU) 블랙웰과 관련한 불확실성도 있..
60/40 포트폴리오 60/40 포트폴리오는 그림에 볼 수 있듯이 주식 60% 채권 40%로 이루어진 포트폴리오이다.상관관계가 낮은 두 자산군을 묶어 서로 보완하는 자산배분 전략으로 매우 심플한 전략이다.주식이 하락할 때는 채권이 상승하며 주식 하락분을 메우고채권이 하락할 때는 주식이 상승하여 채권 하락분을 메우는 개념이다.  60/40 포트폴리오와 SPY를 2015 ~ 2024년 동안 10000달러를 투자한 경우를 비교했을 때  60/40 포트폴리오는 21,421달러, SPY는 32,465달러로 마감했다.-CAGR(연평균 수익률)60/40 포트폴리오: 8.20%SPY: 12.95%-MDD(최대 하락률)60/40 포트폴리오: -20.69%SPY: -23.93% 60/40 포트폴리오가 연평균 수익률은 더 낮지만 MDD에서 더 ..
금융투자소득세란 무엇인가? 금융투자소득세의 정의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는 소득세의 한 종류로 주식,펀드 등에 투자해 번 돈이연간 5000만원(해외주식 등 기타 250만원)을 넘으면 내야 하는 세금이다.2020년에 법안이 통과됐고, 2023년부터 시행될 예정이었지만 2025년으로 시행이 미뤄졌다가이제는 폐지하자는 얘기가 나오고있다. 오늘은 이 금투세에 대해 알아보자.  금융투자소득세의 도입배경 1. 세원 확대정부는 금투세를 통해 약 4조원의 세수를 기대하고 있다.이러한 세수는 국가 재정의 안정과 복지 자원 마련에 기여할 수 있다.2. 과세 형평성 강화기존에는 주식, 채권 등 금융상품에서 발생하는 일부 소득에 대해서만 과세가 이루어졌다.특히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 매매에서 발생하는 자본이득에 대해서는 과세되지 않거나 제한적인 경우가 많았..
비트코인 - 나선형 차트(feat. TheRationalRoot) 오늘은 X(전 트위터)에서 활동하고 있는 비트코인 분석가 @TheRationalRoot에 대해 알아보자.TheRationalRoot는 4년주기를 가진 비트코인 나선형 차트를 제시한 사람으로 유명하다.차트의 원을 한바퀴 돌면 4년을 뜻하고 각 가로 세로줄을 기준으로 1년의 기간을 나타낸다.차트를 보면 알 수 있듯이 4년 주기중 1년은 Bull market(강세장), 그 후 1년은 Bear market(하락장),그 후 2년은 Recovery(회복장), early bull market(강세장 전 약한 상승장)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또, 각 사이클의 최저점(진한 갈색 점), 최고점(초록점), 반감기(Halvings)가 표시되어 있다.차트의 주기를 확인했을 때 반감기 이후 약 1년 6개월 뒤에 최고점을 ..
레이달리오-올웨더 포트폴리오 레이달리오는 미국 국적의 헤지펀드 매니저.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 설립자이자 전 CEO이다.레이달리오가 제시한 올웨더 포트폴리오는 이름 그대로 모든 경제상황에 대해 잘 대응할 수 있도록설계된 포트폴리오이다. 경제는 크게 두 요소에 의해 변동하는데 1. 성장률 변화: 경제 성장이 증가 or 감소2. 물가 변화: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or 디플레이션(물가 하락) 발생 이 두 요소가 결합한 네 가지 주요 시나리오높은 성장과 인플레이션높은 성장과 디플레이션낮은 성장과 인플레이션낮은 성장과 디플레이션올 웨더 포트폴리오는 각 시나리오에 리스크를 분산시키기 위해 자산을 고르게 배분한다.      각 시나리오에는 주요 자산이 있는데 이에 따른 자산배분은 아래와 같다. 주식: 30%(미국) 장기채권: 40%(미국) 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