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4.09.08 기준 위 차트에서 볼 수 있듯이 미국 주요 지수가 하락하면서 조정을 받고 있는 걸 확인할 수 있다.
그렇다면 이러한 조정의 이유는 무엇일까?
많은 이유들이 있지만 그중에서 금리 인하에 따른 경기침체에 대한 투자 심리 위축이 제일 큰 이유일 것이다.
많은 사람들은 금리인하를 하면 좋은 것이 아닌가? 왜 주가가 떨어질까?라는 생각을 할 것이다.
다음 차트를 보자.
차트를 보면 알수있듯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단기적으로는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
금리 인하를 한다는 것은 곧 경기침체에 대한 인정을 뜻하기도 때문에 투자심리가 위축되어 하락하는 것이다.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으로는 시장에 돈이 많아지고 유동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주가에 있어서 긍정적인 신호다.
아래 차트를 보자.
금리 최고점 이후 단기적으로는 하락추세를 보이지만 그 후에는 경기회복을 통해 호황단계에 진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현재 시장은 A-B 구간에 있고 금리인하를 통해 조정을 받은 후 회복국면을 지나 최종적으로는 호황국면에 접어들 것이다.
때문에 현재 경제상황은 금리인하에 따른 조정을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이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면
11월 미국대선과 9월 금리인하가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유동성 공급에 따른 주가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다.
반응형
'경제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 경제와 새로운 성장 모델 (3) | 2024.09.21 |
---|---|
24년 9월 FOMC 50bp 금리인하 (1) | 2024.09.19 |
파이어족(FIRE족)이란? (10) | 2024.09.11 |
미국 기준금리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4) | 2024.09.10 |
금융투자소득세란 무엇인가? (6) | 2024.09.08 |